본문 바로가기

국제개발협력22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 1970년대 1970년대 국제개발협력은 국제개발협력의 정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차례의 석유파동과 스태그플레이션의 지속으로 인해 경기불황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그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역사적 전개과정 UN은 1970년대를 ‘제2차 개발의 10년’으로 선언하였습니다. 또한, 선진국들이 1970년대 중반까지 GNP의 0.7%를 ODA로 공여할 것을 촉구했습니다. 그러나 두 차례의 석유 파동(oil shock)때문에, 개발도상국의 상황은 더욱 악화 되었습니다. 이런 결과, 공여국들이 기존 ‘인프라 중심 경제성장 원조전략’에서 후퇴하는 계기로 작용해, ‘인간의 기본적 욕구(Basic Human Needs, BHN)’에 중점을 둔 개발이 이루어지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런 점에서 1970년대는 공여국들이 직.. 2022. 6. 29.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1960년대 1960년대는 국제개발협력의 도약의 시대라고 볼수있습니다. 개발원조의 규모가 커지면서 UN에서는 선진국들이 국민총소득의 1%를 원조에 사용하도록 권고하기도 하였습니다. 근대화이론, 균형성장이론과 불균형 성장이론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역사적 전개과정 당시 1960년대에는 UN의 전문기구들과 국제기구들이 많이 만들어지고 정비된 시기입니다. 1961년 식량 원조가 개발도상국의 경제-사회적 개발을 도모할 수 있도록 UN세계식량계획(World Food Programme, WFP)을 설립했습니다. 또한, 1960년대 중반에는 UN 내 개발을 전담하는 전문기구들이 만들어졌습니다. 1965년 UN의 개발원조계획을 전담하는 UN개발계획(United Nations Development Program, UNDP)이 만들.. 2022. 6. 28.
국제개발의 역사(1940~1950년) 국제개발협력의 초창기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차 세계대전 직후 국제개발협력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으며, UN의 등장으로 국가 간 협력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습니다. 유럽부흥계획, 마셜플랜등에 대해서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1940~1950년대 : 국제개발협력의 태동 국제개발협력이 본격화된 것은 제 2차 세계대전 직후입니다.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대부분의 식민지가 정치적으로 독립은 했으나, 서구 열강의 오랜 식민지 수탈로 인해 빚어진 가난의 참극에 대해 국제사회가 공동의 책임을 져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아졌습니다. 1940년대 이전의 국제개발협력은 국제적십자사나 교회가 중심이 된 ‘국제구호 활동’이 주류이거나, 자국의 이익을 위한 원조나 기술 지원 등으로 작은 규모로 행해졌습니다... 2022. 6. 27.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 국제개발협력은 다양한 주체들이 있습니다. 크게 OECD DAC 공여국, 신흥 공여국 및 개발도상국(남남협력), 다자 개발기구, 개발NGO, 시민사회, 민간기업, 국제민간재단 등이 있습니다. 국제개발협력의 다양한 주체들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OECD DAC 공여국 ODA는 그 대부분이 OECD DAC 회원국들에 의해 제공됩니다. DAC은 ODA를 제공하는 OECD 회원국들의 모임인데, 국제개발협력에 관한 주요 규범과 가이드라인을 정하고 있습니다. 2015년 10월 현재 34개 OECD 회원국 중 DAC 회원국은 28개국과 유럽연합(EU)입니다. 대한민국은 2009년에 DAC에 가입했습니다. 신흥 공여국 및 개발도상국(남남협력) 신흥 공여국(emerging donors)이란 DAC 회원국이 아니면서 비교.. 2022. 6. 27.
국제개발협력과 ODA 이해 국제개발협력과 ODA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국제개발협력은 개발격차를 줄이고 개발도상국의 빈곤과 불평등을 해소하며 개발도상국의 사람들이 세계인권선언이 주창한 천부적 인권을 누릴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국제사회의 구체적인 노력과 행위라고 정의할 수 있습니다. 국제개발협력의 정의 개발 격차(development gap)란? 소득, 인프라, 경제성장률, 직업 기회, 교육, 보건위생과 같은 인간 삶의 질을 결정하는 다양한 정치, 경제, 사회적 지표에서 나타나는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의 차이. (하지만, 이는 같은 나라 안에서 도시와 농촌간, 계층간, 성별간, 지역 간 등에도 존재합니다.) ☞즉, 이처럼 선진국과 개발도상국 간, 개발도상국 상호간, 개발도상국 국내에서 발생하는 개발 격차를 줄이고 개발도상국.. 2022. 6. 27.
지구촌 빈곤의 이해 지구촌 빈곤의 이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빈곤의 기본 개념은 기본적 욕구가 채워지지 않은 상태라고 정의 할 수있습니다. 빈곤의 개념, 그리고 빈곤의 원인 등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불평등의 원인과 문제점 불평등의 사전적 의미는 ‘차별이 있어 고르지 못한 상태’입니다. 불평등이 생기는 이유는 인간이 사는 곳에서는 어디서나 선천적 또는 후천적으로 발생하기 마련인 개개인 또는 집단 사이의 권력, 재력, 학력, 능력, 등에 차이 때문이며, 이에 따른 우열이 발생하기 때문입니다. 구조적 불평등이 왜 문제가 되는 것인가? (불평등의 문제점) 첫째, 불평등은 인간 개개인이 자신의 인권을 실현할 수 있는 기회를 박탈하거나 상당 부분 제한합니다. 둘째, 불평등은 한 사회가 가진 제한된 인적-물적-사회적 자원의.. 2022. 6. 24.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