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개발협력22 국제개발협력 11편 ODA 현대화 ODA현대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ODA현대화를 이해하게 되실 것입니다. ODA현대화가 궁금하시다면 반드시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ODA현대화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2015년을 전후로 국제사회는 글로벌 개발목표의 재구성뿐 아니라 ODA를 포함한 개발재원 측면에도 큰 변화를 가져왔습니다. 이러한 변화는 ‘ODA 현대화’라고 불립니다. ODA현대화 : OECD DAC 회원국에 의해 2014년 진행된 ODA 재정의와 2015년에 추진된 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총공적지원 개념 도입 및 민간금융 수단의 ODA 인정범위 확정과정을 의미합니다. 2014년 시작된 ODA 현대화는 크게 ①ODA 재정의(ODA re-definition) ②지속가능개발을 위한 총공적지원(Total Official .. 2022. 8. 6. 국제개발협력 10편 원조효과성에서 효과적 개발협력으로 원조효과성 및 효과적 개발협력 를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원조효과성 및 효과적 개발협력 를 이해하게 되실 겁니다. 원조효과성 및 효과적 개발협력 가 궁금하시다면 반드시 끝까지 읽어주세요.- 2000년대 들어 OECD DAC는 공여국의 원조 지원이 양적 증대뿐 아니라 질적으로도 효과적인 결과를 가져올 수 있는 방안을 마련코자 하였습니다. (양적 증대는 3차에 걸친 개발재원총회를 말할 것이고, 질적으로도 효과적인 결과는 4차에 걸친 원조효과성 고위급포럼을 말할 것이다) 원조효과성 논의 : 2003년 제1차 원조효과성 고위급포럼 고위급 포럼 : MDGs 달성에 기여하기 위해 원조 지원 방법 및 지원과정의 효율성을 증가시켜 효과를 극대화하고자 총4차례에 거쳐 개최된 OECD DAC의 회의 2.. 2022. 8. 5. 국제개발협력 9편 혁신적 개발재원 혁신적 개발재원을 알려드리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혁신적 개발재원을 이해하시게 될 겁니다. 혁신적 개발재원이 궁금하시다면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혁신적 개발재원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혁신적 개발재원은 전통적 형태의 공적 개발재원 이외의 모바일 뱅킹과 디지털 지불, 혼합금융, 개발성과 연계 채권, 항공권 연대 기금, 글로벌 교육 우선 구상, 녹색기후기금 등과 같은 다양한 새로운 개발재원을 의미합니다. 혼합금융 제 3차 개발재원총회에서는 벤처 캐피탈 기금 등이 공적 개발기관 등과 연계하여 재원을 조성하는 ‘혼합금융(blended finance)’이 큰 관심을 받게 되었습니다. ‘혼합금융’은 공적 재원이 민간 재원과 혼합되어 개발도상국에 유입되는 것으로 정부기관과 상업 금융기관이 개발도상국 .. 2022. 8. 5. 국제개발협력 8편 개발재원 확대 개발재원확대를 알려 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읽고 나면 개발재원확대를 알게 될 겁니다. 개발재원확대가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아래의 글로 알아봅시다. 국제 사회가 개발 재원 논의를 본격적으로 시작한 것은 OECD DAC 회원국의 21세기 개발협력전략에서 찾아볼 수 있습니다. OECD DAC회원국은 공적 재원 이외의 다양한 재원들이 개발을 위해 적절하게 이용되어야 한다고 하였습니다. 민간 재원이 일부 위험도가 낮은 개발도상국에 편중되지 않게 민간 투자가 더 많은 개발도상국에 유입되어 그들의 금융시장이나 일자리 창출을 위해 민간 재원 조성이 필요하다고 하였습니다. 그래서, 이후 2001년 MDGs가 수립되면서, MDGs 달성을 위해 필요한 재원을 마련하고, 이를 효율적으로 사용.. 2022. 8. 4. 국제개발협력 7편 지속가능개발목표(SDGs) 지속가능개발목표를 탐구하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어주시면 지속가능개발목표를 이해하게 되실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지속가능개발목표가 궁금하신 분들은 반드시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지속가능개발목표를 알려드리겠습니다. UN의 주도로 이루어진 SDGs의 수립은 UN 작업반, UN 고위급 패널, UN의 세계시민 100만명 의견 수렴, UN 공개 작업반 4단계를 기반으로 이루어졌습니다. UN 작업반 2012년 UN 반기문 사무총장은 ‘UN 작업반(UN System Task Team)’을 구성하여, 그 동안의 MDGs 달성 정도를 평가하고, 그 과정에서 배우게 된 교훈점을 도출하여 MDGs의 한계와 개선점을 분석하도록 하였습니다. 이를 통해 새로운 글로벌 목표(post-2015 개발목표)의 기반을 마련하고.. 2022. 8. 3. 국제개발협력 6편 새천년개발목표(MDGs) 1. (1)새천년개발목표(MDGs)1)MDGs 수립 배경-냉전체제가 종식되면서, 1990년대는 글로벌화에 주목을 하면서, 경제 개발 위주의 개발협력 패러다임을 사회 개발 중심으로 변화되었다. 이러한 흐름에서, 공여국의 모임인 OECD DAC에서는 그 동안 공여국별로 독자적인 원조를 해온 것이 효과적이지 않다며, 원조 피로 현상을 극복하고 조화로운 파트너십을 바탕으로 제한된 재원을 효과적으로 지원하자고 주장. 그래서, 이러한 배경 하에 생겨난 것이 바로 OECD DAC의 1996년 ‘21세기 개발협력전략(Shaping the 21st Century : the Contribution of Development Cooperation)’이다. 이 문서는 국제개발협력 역사상 최초로 원조지원에 대한 공여국 공동의 .. 2022. 8. 2.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2000년대 역사적 전개과정 2000년 9월 UN 새천년정상회의에서 범세계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새천년선언’을 채택하게 되고, 이어 2011년 6월에는 2015년까지 전 세계의 극심한 빈곤을 반으로 줄이겠다는 목표를 담은 ‘새천년개발목표(MDGs)’를 발표하였습니다. MDGs는 국제기구 및 NGO 등 다양한 주체들이 함께 참여해 지구적 합의를 이끌어냈기에 더 큰 의의를 가집니다. -UN은 2000년대에 들어와 UN글로벌컴팩트(UN Global Compact, UNGC)를 창설하면서, 기업의 사회적 책임(Corporate Social Responsibililty, CSR)을 지지하고 촉구하기 시작하면서 특히 인권, 노동, 환경 그리고 반부패 등 4가지 분야의 10대원칙을 내세우면서 기업들이 지속가능한 발전에 참여.. 2022. 8. 1.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 1980년대~1990년대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및 워싱턴 컨센서스를 공유해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모두 읽어주신 분들은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및 워싱턴 컨센서스를 알게 될 것입니다.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및 워싱턴 컨센서스 가 궁금하시다면 반드시 끝까지 읽어주세요. 이제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및 워싱턴 컨센서스를 알려드리겠습니다. 역사적 전개과정 1. 1980년대 1980년대는 개발과 빈곤 감소라는 국제개발협력의 영역이 축소되고, 세계은행과 IMF가 중심이 되어 개발도상국의 구조조정을 대대적으로 이룬 시기입니다. 또한, NGO의 역할이 공여국 정부의 필요에 의해 크게 증가한 시기이기도 합니다. 1990년대는 사회주의가 무너지면서 냉전이 끝나고, 본격적인 세계화가 진행된 시기입니다. UN은 1980년대를 ‘제3차 UN 개발 10년’으로 선.. 2022. 7. 1. 이전 1 2 3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