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외봉사사업은 SDGs 달성을 위해 매우 중요한 요소입니다. 이를 활성화 하기 위해서 자원봉사자의 역량, 수원국의 역량, 그리고 공여국의 역량으로 나눠 살펴볼 수 있습니다. 또한 이러한 해외봉사는 SDGs 달성에 인적자원쇄신, 포괄적 파트너십 구축 등의 역할을 할 수 있습니다.
서론
SDGs는 사회-경제-환경적 목표를 추구하는 지속가능한 개발이며, 모든 국가가 대상이 되는 보편적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 SDGs는 17개 목표와 169개의 포괄적이고 세부적인 목표를 가지고 다양한 이해관계자의 참여와 이해를 필요로 하고 있습니다. 특히 자원봉사는 SDGs의 다양한 분야별로 프로젝트 및 프로그램 단위로 참석하여 봉사자들의 지식, 경험, 전문기술을 통해 SDG의 달성에 중요한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가 되고 있습니다. 해외봉사사업의 성공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를 자원봉사자의 역량, 수원국의 역량, 공여국의 역량으로 나눠서 볼 수 있습니다.
본론
먼저 자원봉사자의 역량, 전문 기술 실력 등으로 봉사활동 성과를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자원봉사자는 사업의 최전방에 있는 자원으로 현지와의 커뮤니케이션, 프로그램의 진행 등을 통해 사업의 성과를 좌지우지 합니다. 이를 위해 자원봉사자들이 현지에서 충분한 활동을 할 수 있도록 코칭, 멘토링, 교육 등을 통해 자원봉사자의 역량강화가 필요합니다.
둘째, 수원국의 역량입니다. 파트너 기관의 재정, 인적자원, 조직적 역량 등 파트너 기관의 역량은 사업의 성과에 역향을 끼치며, 역량을 키우기 위해 철저한 니즈평가가 필요합니다.또한 포괄적 파트너십은 사업의 성과에 중요한 요소로, 지역 사회의 교육과 이니셔티브를 통해 지역사회의 참여를 이끌어 낼 수 있습니다. 또한 봉사자들이 수원기관을 떠난 이후에도 프로그램이 지속되도록 파트너 기관이 재원 마련 및 주인의식을 고양하여 봉사사업의 효과성 및 지속성을 보장해야 합니다.
마지막으로 공여국의 역량입니다. 공여국은 봉사사업 프로그램의 개발 및 봉사단원의 훈련을 통해 사업의 성공에 영향을 끼칠 수 있습니다. 봉사활동의 성과 극대화를 위해 봉사단원의 선발과정에서 자질을 갖춘 지원자들을 선발하여 중도 귀국 등과 같은 실패율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수원국의 개발필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사업을 개발하여 원조 일치를 이끌어 나갈 수 있습니다.
자원봉사는 SDGs 달성에 2가지 측면에서 기여할 수 있습니다.
첫째. 자원봉사를 통해 인적자원을 쇄신할 수 있습니다. 국제사회 봉사와 개발도상국 내 국내자원봉사가 연계 통합되면 국제봉사자들의 지식, 경험, 전문 기술이 국내 봉사자에게 전수 및 보급될 수 있습니다. 교육, 공공행정, 농림수산, 기술 등 SDGs의 여러 분야에 국제자원봉사자들이 참여하여 자신이 가지고 있는 전문기술을 전수하고 교육을 통해 개발도상국 내 인적자원을 개발하고, 타 지역의 보급을 확대하며 SDGs 달성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또한 여러 분야의 교육을 통해 여성과 취약계층에 대한 역량을 강화하고 자립에 기여를 할 수 있습니다.
둘째, 자원봉사는 시민 및 지역사회의 참여 활성화를 통해 SDGs 17번 목표인 포괄적 파트너십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SDGs 사업 전반적으로 참여하여 기획, 실행, 모니터링 과정에 참여하여 시민주도의 질적, 양적으로 SDGs 모니터링이 가능하다. 또한 시민 참여로 자원봉사에 대한 호혜적인 환경을 구축할 수 있습니다.
결론
해외봉사활동은 단기적인 이벤트성이라고 생각하지 말고, SDGs 달성에 한 걸음 나갈 수 있는 한 방법으로 생각할 필요가 있습니다.
'국제개발협력 논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제개발협력 논술 난민 해결 방안 (0) | 2022.05.22 |
---|---|
국제개발협력 혁신기술 기반의 창의적 가치 창출 프로그램(CTS) 활성화 방안 (0) | 2022.05.21 |
양성평등 확립을 위한 개발협력사업의 발전방향 (0) | 2022.05.13 |
공교육 내 세계시민교육 효과적 이행방안 논술 (0) | 2022.05.11 |
국제개발협력분야에서의 기후변화 대응 방안 (0) | 2022.05.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