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국제개발협력

국제개발협력 16편 UN본부 및 산하기구

by 젠틀앤러브 2022. 8. 11.
반응형

다자개발기구 중 UN본부 및 산하기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이 글에서 UN본부의 기능 그리고 각 산하기관에 대한 정보를 얻으실 수 있습니다. 1940년대에 UN, IMF, 세계은행 등이 설립되면서 활발히 부상하였습니다. 오늘날에는 전문적인 영역에서 다양한 지원 수단을 통해 전 지구적 문제해결과 개발도상국들의 발전을 위해 힘을 쏟고 있습니다. 

 

 

 

UN본부 및 산하기구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나갈 무렵 연합국들 사이에서 국제평화와 안전 유지를 위한 국제기구 설립의 필요성이 대두되었습니다. 1942년 1월, 26개국 대표들이 워싱턴에서 연합국 선언에 서명하면서 UN이 탄생하였으며, 공식 출범일은 1945년 10월 24일입니다. 이 선언에서 루즈벨트 대통령이 제안한 ‘국제연합(UN)’이라는 용어가 최초로 공식 사용되었습니다.우리나라는 1991년에 남북한 동시 가입이 실현됐습니다.

 

UN의 활동 원칙 : UN은 모든 회원국의 주권 평등, 헌장 의무 준수, 국제분쟁의 평화적 해 결, 국제관계에서 무력 사용 및 위협 금지, UN의 조치에 대한 지원과 예방 또는 강제 조 치 대상국에 대한 지원 금지, 국내 문제 불간섭 등의 원칙을 갖고 활동합니다. 

개발협력을 주도하는 기구는 경제사회이사회로, 지속 가능한 발전과 관련된 14개 전문기 구, 10개 위원회, 5개 지역위원회를 총괄합니다. 1965년에는 UN의 모든 개발원조 활동을 총괄 조정하는 중앙기구로 UN개발계획(UNDP) 을 설립했습니다. 1997년에는 UN산하 각 기구의 활동을 효율적이고 효과적으로 조정하기 위해 UN 개발 그룹(UNDG)이 설립되었습니다.

 

UN 조직도
UN 조직도

UN 개발계획(UNDP)

세계 최대의 다자간 기술 원조 공여기관이자 UN의 개발 활동을 조정하는 중앙기구입니다. 개발도상국의 경제적·정치적 자립과 경제·사회 발전을 이룩하는 것이 목표이며, 이를 위해 로 개발도상국의 개발목표에 부합하는 원조를 체계적이고 지속적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주요 관심 분야는 빈곤 해소와 MGDs 달성, 민주적 거버넌스 수립, 리스크의 예방과 복 구, 지속적인 발전을 위한 환경과 에너지 정책 등입니다. 특정 회원국 없이 모든 국가에게 개방되어 있습니다. 최대 공여국은 2013년 기준으로 일본, 노르웨이, 미국입니다.

 

UN아동기금(UNICEF)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전쟁으로 인한 질병과 기아에 고통받는 아동을 구호할 필요성이 대 두되었습니다. 이에 1946년 UN국제아동긴급기금(UN International Children’s Emergency Fund, UNICEF)이 설립되었습니다. 1953년 UN국제아동긴급기금이 상설화되어 UN아동기금(UN Children’s Fund, UNICEF) 이 되었습니다. 

 

개발도상국의 아동과 그 가족들을 위한 정책 입안하고 이행을 지원합니다. 행정적 실무를 담당하는 것은 사무국이고, 정책의 수립과 결정은 36개국을 회원으로 두고 있는 집행이사회가 맡는입니다. 36개국에 국가위원회를 두고 있고, 각 위원회는 독립적인 NGO로 기능하고 있습니다. 현재 약 190개국에서 활동 중이고 155개국에 현장사무소를 두고 있습니다. 선진국에 위치한 국가위원회는 UNICEF의 활동을 홍보하고 기금을 모금하는 역할을 하며, UNICEF는 대부분 자발적 성금에 의해 운영됩니다. 대한민국은 1948년도부터 1994년까지 UNICEF의 지원을 받았으나 1994년 UNICEF 한국 위원회 설립에 동의하면서 수혜국에서 공여국으로 바뀌었습니다.

 

UN식량농업기구(FAO)

 FAO는 세계 인구의 영양 상태 및 생활수준 향상과 식량의 효율적 생산 및 분배를 목적 으로 설립된 기구로 전 세계에 192개국의 회원국을 두고 있습니다. 주요 기능은 영양 상태, 식량 및 농업에 관한 정보 수집, 분석, 판단과 보급, 영양과 식량 및 농업에 관한 과학적·기술적·사회적·경제적 연구, 농산물 상품 협정에 관한 국제정책 채 택, 각국 정부가 요청하는 기술 원조 제공 등입니다. 의사결정기관은 총회, 이사회, 위원회로 나뉩니다. 본부는 총 7개국 8개 실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전 세계에 지역사무소를 두고 있고, 기구의 예산은 정규예산과 자발적 기금으로 구성되며, 각 회원국은 정규예산에 대해 분담비율에 따라 의무적으로 납부하고 있습니다.

개발도상국 농민들에게 실질적이고 지속가능한 지원을 시행합니다. FAO 주요 프로그램은 식량 안보 및 영양 개선 프로그램, 긴급구호 프로그램, 역량 개발 프로그램 등입니다. 핵심 사업은 광범위한 기술협력 프로그램(Technical Cooperation Programme, TCP)으로써, 회원국의 식량 안보, 빈곤 퇴치, 농업 개발 등을 지원하기 위해 1976년부터 운영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TCP는 정부에게 직접적으로 지원하는 것이 아니라 연구기관 및 농민조합 등을 주요 수혜자로 삼아 컨설팅 및 역량 강화 연수를 제공하는 형태로 지원됩니다. 우리나라는 1949년 제5차 FAO 총회에서 정식 회원국으로 가입했습니다.

 

세계보건기구(WHO)

세계보건기구(World Health Organization, WHO)는 글로벌 보건 이슈를 선도하고 조정하는 UN 산하기구입니다.  1948년 4월 7일 세계보건기구를 정식 발족하며, WHO 설립일을 ‘세계 보건의 날’로 지정했습니다. 사무국은 스위스 제네바에 있습니다. 최고 의사결정기관은 총회로, 총회의 주요 기능은 정책 결정 및 예산 심의와 승인, 사무총장 선출입니다. 전 세계에 194개국을 회원국으로 두고 있고, 6개의 지역사무소와 149개의 국가사무소를 설립해 국제적 보건 문제 해결에 기여하고 있습니다. 대한민국은 1949년에 가입하여 집행이사국으로 활동하였고, 2003년 1월 이종욱 박사가 사무총장에 선출되었으나 2006년 5월 정기총회 중 갑자기 타계하였습니다.  WHO 한국사무소는 1965년 개설되었으나 대한민국이 원조 수원국에서 원조 공여국으로 전환되자 설립 47년 만인 2012년 폐쇄되었습니다.

 

결론

지금까지 UN 본부 및 산하기구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조금 더 필요한 내용이 있으시다면 아래 포스팅을 확인해 주세요

 

 

 

국제개발협력 15편 신흥 공여국

신흥공여국을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글을 끝까지 읽으시면 신흥공여국을 알게 될 것이라고 기대하고 있습니다. 신흥공여국이 궁금하신 분들은 반드시 끝까지 읽어주세요. 아래에서 모두

love-gentle.tistory.com

 

 

국제개발협력 14편 OECD 회원국 하

OECD DAC 회원국 하편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읽어주시면 OECD DAC 회원국, 일본, 스웨덴, 호주, 덴마크 등및 기타 국가에 대해서 알게 될 겁니다. OECD DAC 회원국이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

love-gentle.tistory.com

 

 

국제개발협력 13편 OECD DAC 회원국 상

OECD DAC 회원국을 소개해드리겠습니다. 이 글을 읽어주시면 OECD DAC 회원국을 알게 될 겁니다. OECD DAC 회원국이 궁금하신 분들은 모두 읽어주시면 도움이 되실 것입니다. 이제 OECD DAC 회원국를 알아

love-gentle.tistory.com

 

 

국제개발의 역사(1940~1950년)

국제개발협력의 초창기 역사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2차 세계대전 직후 국제개발협력이 본격화되기 시작하였으며, UN의 등장으로 국가 간 협력을 통한 국제개발협력이 본격적으로 시작되었

love-gentle.tistory.com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1960년대

1960년대는 국제개발협력의 도약의 시대라고 볼수있습니다. 개발원조의 규모가 커지면서 UN에서는 선진국들이 국민총소득의 1%를 원조에 사용하도록 권고하기도 하였습니다. 근대화이론, 균형성

love-gentle.tistory.com

 

국제개발협력의 역사 : 1970년대

1970년대 국제개발협력은 국제개발협력의 정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두 차례의 석유파동과 스태그플레이션의 지속으로 인해 경기불황에 빠졌기 때문입니다. 그 과정을 자세하게 살펴보도록 하

love-gentle.tistory.com

 

댓글